"기술가치평가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
법학위키
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
97번째 줄: 97번째 줄:
|300
|300
|Bottom Line: 그래서 이익이 얼마야?
|Bottom Line: 그래서 이익이 얼마야?
|}
*주요 재무비율
{| class="wikitable"
|매출액 증가율(성장성)
|(당기매출액-전기매출액) / 전기매출액
|-
|영업이익률
|영업이익 / 매출액
|-
|자기자본비율
|자기자본 / 총자산
|-
|이자보상배수
|영업이익 / 금융비용
|-
|매출채권회전율
|매출액 / 매출채권
|}
|}
*주석
*주석

2024년 6월 5일 (수) 07:41 판

가치평가와 회계

  • 회계 : 정보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경제적 실체의 재무정보를 산출하여 전달하는 정보시스템 - 대표적인 정보이용자 - 주주
  • EPS(주당이익) = Earning / Share
  • PER = PRICE / EPS
    • 저퍼 낮은 PER = 저퍼인 경우 주가가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, 이익의 지속성에 의문이 있는 경우 낮은 PER가 유지되기도 함
  • Price = f(이익,etc)

단기적으로 재료보다 수급이 우선한다, 장기적으로는 재료가 중요하다.

  • 기업가치의 극대화 - 기업이 미래에 벌어들일 현금흐름의 현재가치
  • 기술가치평가: 기술이 그 사업을 통하여 창출하는 경제적 가치를 기술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가치평가 원칙과 방법론에 입각하여 평가하는 것
  • 수익접근법 : 평가대상기술의 경제적 수명 동안 기술사업화로 인해 발생될 경제적 이익 추정 후 할인율을 적용해 현재가치로 환산. 기술의 경제적 수명, 현금흐름, 할인율, 기술기여도, 기술비중을 추정해야 함.
    • 여유현금흐름 = 영업이익 - 법인(소득)세 + 감가상각비 등 - 자본적 지출액 - 운전자본 증감액
    • 영업이익 = 매출액 - 매출원가 - 판관비
  • 시장접근법
  • 비용접근법

재무제표의 이해

  • 재무상태표(B/S,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) : 결산일 현재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것. 결산일 현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, 부채, 자본의 잔액을 보여주는 표
차변 대변
자산(현금) 2,000 부채(차입금) : 1,000
자본(자본금) : 1,000
차변 대변
자산

I 유동자산

(1) 당좌자산

(2) 재고자산

II 비유동자산

(1) 투자자산

(2) 유형자산

(3) 무형자산

부채

I 유동부채

II 고정부채

자본

I 자본금

II 자본잉여금

III 이익잉여금

현금

매출채권

토지

설비자산

매도가능금융자산

자금의 운용 자금의 조달
  • 포괄손익계산서(I/S) : 한 회계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성과와 실적을 보고하기 위한 재무제표
매출액 1,000 제조활동으로 물건을 파는 회사: 제조업

남이 만든 상품을 파는 회사: 유통업

매출원가 (500) 제조업: 제조비용 또는 외주가공비용(공장 직원 급여)

유통업: 상품을 구입하는데 들어가는 원가

매출총이익 5000
판관비 (200) 판매 및 관리활동과 관련되어 들어가는 비용, 본사 직원 급여, 광고비�
영업이익 300 Bottom Line: 그래서 이익이 얼마야?
  • 주요 재무비율
매출액 증가율(성장성) (당기매출액-전기매출액) / 전기매출액
영업이익률 영업이익 / 매출액
자기자본비율 자기자본 / 총자산
이자보상배수 영업이익 / 금융비용
매출채권회전율 매출액 / 매출채권
  • 주석
  • 재무제표의 획득
  • 재무제표의 이용방법
  • 무형자산
  • 원가
  • 개발비 자산화 조건

화폐의 시간가치 및 할인율의 이해

  • 자본예산
  • 기술가치평가에서 현재가치의 활용
  • 할인율
  • 이자율

회계를 이용한 기술가치평가

  • 매출액 = P * Q
  • 발생주의
  • 매출원가
  • 원가의 3요소
  • 매출원가 및 판관비 추정의 원칙
  • 변동비와 고정비의 이해
  • 변동원가
  • 고정원가
  • 판매비와 관리비
  • 법인세
  • 감가상각
  • 법인세법 기준
  • 운전자본
  • 수익적 지출과 자본적 지출